티스토리 뷰

반응형

1) 미국증시 마감 리포트 (미국기준 5월 9일 증시)

5/9 미국 주요 지수들은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 투자자들은 스위스에서 개최될 얘정인 미국 과 중국같은 고위급 무역협상 결과를 주시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임. 이런 관망세 속에서 시장은 전반적으로 제한된 움직임을 나타냈으며 결과적으로 주요지수들은 주간 기준 3주만에 하락세로 전환함.
 

주요지수 종가 및 전일대비 변동률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DJI) 41,249.38 -0.29%
S&P 500 5,659.91 -0.071%
나스닥 종합지수 17,928.92 +0.0043%
2) 주요 경제지표 동향

 
주요 데이터 종가/수치 및 전일 대비 변동률 (2025년 5월 9일 기준)

지표명 종가 전일 대비 변동률 (%)
USD/KRW 환율 1,396.15 원 -0.55%
Fear & Greed Index 61.60 (변동률 정보 없음)
유렉스 미니 코스피200 선물 (FKO2) 341.52 (지연) +0.02%
iShares MSCI South Korea ETF (EWY) $57.69 +0.86%
ICE BofA US High Yield Index Option-Adjusted Spread 3.51% (5월 8일) (변동률 정보 없음)
CBOE Volatility Index (VIX) 21.90 -2.58%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4.382% +0.21% (전일 종가 대비)
  • 원달러 환율 : 7.67원 하락 한 1396.15원 마감. 이런 원화 강세는 미국 시장에서 한국 관련 ETF EWY를 상승시키고, 유렉스 미니 코스피 200선물 역시 소폭 상승 하게 한 맥을 같이 한다. 일반적으로 원화 강세는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서 환차익 기대감을 높여 국내 증시로의 자금 유입을 촉진할 수 있으며, 수입물가 안정에도 기여하여 한국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
  • F&G 공포지수 : 61.6 탐욕 상태 유지중. 아직 위험할 정도의 탐욕은 아니지만, 한국 증시도 좀 따라 올라가주길.
  • 하이일드 스프레드 : 주 초 긍정적인 관세 관련 소식에 힘입어 신용 스프레드가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는 점을 감안할때, 현재 수준은 신용 시장이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임을 시사한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의 급격한 확대는 통상적으로 시장의 위험 회피 심리가 고조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인데, 현재로서는 그런 징후가 뚜렷하지 않아 주식시장에 비교적 우호적인 환경
  • VIX : 전일대비 하락했지만, 21.9는 여전히 시장 참여자들이 일정 수준의 경계감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 4.382% 로 전일 종가 대비 소폭 상승마감.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우려는 채권 투자자들이 더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게 만들어 국채금리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 증가 및 주식가치 평가 할인을 상승으로 이어져 증시에 부담요인이 될 수 있다.
 

3) 주요뉴스

  • 주말 스위스에서 열릴 예정인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 대한 기대와 우려속에서 관망세. 투자자들은 협상결과가 향후 시장 방향성을 결정지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적극적인 배팅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 협상 앞두고, 대중국 80% 관세가능성 시사.
  • 리프트 (Lyft), 견조한 예약실적 및 자사주 매입발표후 주가 28% 급등  (차량공유업체)
  • 인슐린 펌프 제조사 인슐렛 (insulet)의 주각가 예상을 뛰어넘는 분기 실적과 연간 매출 전망 상향에 힙입어 21% 급등. 
  • 영란은행 (BOE) 이 기준 금리 인하를 결정했습니다. 이는 미국 FED 가 금리를 동결한 것과 대조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에 대해 글로벌 중앙은행들이 각기 다른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음을 시사.
  • 미국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증가. 도매 재고 증가. 5월 3일로 끝난 주간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가 22만 8천건으로 전주대비 1만 3천건 증가함. 한편, 3월 도매재고는 0.4% 증가하여 2월 수정치 (0.5%증가 )에 이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는 노동시장 및 재고 상황에 대한 혼재된 신호를 제공.

 

4) 한국증시에 대한 영향 분석

미증시는 미-중 무역협상이라는 중대 이벤트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 국장에도 유사하게 영향을 미쳐 장 초반의 변동성은 제한적일 것. 
다만 원달러의 하락, EWY 및 유렉스 코스피 200 선물의 소폭 상승은 한국 시장에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지표들은 투자심리 위축을 일부 상쇄해줄듯.

반응형

5) 주요 산업 / 기업별 영향 분석

긍정적 요소

  • 반도체 : 미중무역 갈등이 완화될 경우 가장 큰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 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의 긍정적인 실적 전망 또한 반도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 중국 시장의 수요 회복과 글로벌 IT기기 판매량 증가는 국내반도체 기업실적에 직접적인 호재로 작용할듯.  (삼전, 하이닉스)
  • 자동차 : 미중 무역갈등 완화는 글로벌 자동차 수요회복에 긍정적일 수 있음. 또한 최근 나타나는 원화강세 현상은 수출 채산성에는 다소 불리할 수 있으나, 수입원자재비용 절감 및 전반적인 투자심리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

부정적 요소

  • 핀테크 및 플랫폼 기업 : 글로벌 BNPL 시장의 선두주자중 하나인 어펌 (AFRM) 의 부진한 실적 전망은 유사한 사업모델을 가진 국내 기업들의 성장성 및 수익성에 대한 의구심을 키울 수 있다. :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등.
  • 클라우드/CDN관련주 : 글로벌 경쟁사인 아카마이 (AKAM)의 주가 하락및 목표가 하향조정은 동종옵계 기업들의 투자 심리위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