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미국증시 마감 리포트 [미국시간 5/23]

주요 지수 종가 및 전일대비 변동률 (%)

 

지수 마감 지수 전일 대비 등락 (포인트)
전일 대비 등락률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DJI) 41,603.07 -256.02 -0.61%
S&P 500 지수 (SPX) 5,802.82 -39.19 -0.67%
나스닥 종합지수 (IXIC) 18,737.21 -188.53 -1.00%

 

시장의 전반적인 심리는 주로 글로벌 무역긴장의 재부각으로 인해 확연히 부정적이었음. 트럼프 발언은 이런 시장 반응의 직접적인 촉매제로 작용.  그가 EU에 대해 일주일 내에 5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위협한 것은 시장을 상당히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또한 애플이 미국 외에서 생산된 아이폰에 대해 최소 25%의 관세를 지불해야 할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시장의 주요 기업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며 공포감을 조성했다.

 

2) 주요 경제지표 

주요 데이터 종가/수치 및 전일 대비 변동률

3) 주요뉴스

  • 무역정책 및 관세논의 동향 :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관련 발언은 시장 부정 심리의 주요 동인이었다. 그는 EU에 대해 일주일 남짓한 기간 내에 새로운 5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으며, 이는 대서양 간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를 조성했다.

미국증시 마감

  • Apple에 대한 미국 외에서 생산된 아이폰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언급에 애플 주가는 장전 2~3% 하락했었다.

 

  • 재정정책 및 미국 예상의 영향 : 공화당이 장악한 하원은 주 및 지방세 공제한도를 20,000달러로 인상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감세안은 미국 정부의 재정 부담을 약 3조 8천억 달러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미국이 이미 36조 2천억 달러의 재정 적자에 직면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런 상황은 ㅈ투자자들이 재정적 영향에 대해 우려하면서 장기 미국 국채 수익률 급등으로 이어졌다는 보고가 있었다. 

 

  • UGG 및 호카 신발 제조업체인 데커스 아웃도어 (DECK) 주가는 약 20% 급락했다. 회사는 중국 내 상당한 제조기반을 고려할 때 관세 및 변화하는 글로벌 무역정책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이유로 2026년 회계연도 전체 전망 제공을 보류했다.

 

  • 그 외에도 소매업체 로스 스토어스 (ROST) 주가는 9.8% 급락, 워크데이 (WDAY) 주가는 13% 하락하는 등 관세 정책과 실적 부진으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형기술주는 전반적으로 소폭 하락하였으며,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사이버 보안 회사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 주요 지수는 하락했지만, 인튜이트 8% 상승, 미국 철강 21% 상승, 원자력 주식 오클로 등 23% 상승하는 등 미국 철강의 M&A 해결, 원자력에 대한 예상 정부지원 등 뚜렷한 긍정적 촉매제에 의해 주도주의 모습을 보였다.
반응형

4) 한국증시에 대한 영향 분석

  • 원달러 환율의 하락과 EWY 및 코스피 200 야간선물 등은 모두 양봉으로 5월 26일 한국 주식을 바라보는 외인들은 긍정적인 것을 볼 수 있다.
  • 미국은 5월 26 메모리얼 데이로 휴장이며,  한국의 증시는 전약 후강의 모습을 보이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