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 기업 개요
기업명 : 현대바이오랜드
기업개요 : 화장품 원료, 건강기능식품원료, 의료기기,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함.
네슬레 헬스사이언스 의 건강기능 식품을 국내에 독점 유통하는 사업도 전개 중.
2. 주요 제품 생산 및 판매
- 주요 제품군 : 히알루론산, 마치현추출물 등 화장품 소재, 홍삼농축액분말 등 건강기능식품소재, 상처드레싱 및 콜라겐 기반의료기기
3. 25년 1Q 재무요약표
- 현대바이오랜드 2025년 1분기의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yoy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매출총이익률과 영업이익률이 모두 개선되어 수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과 관찰됨.
- 이는 원과 관리 효율화 또는 고마진 제품군의 판매비중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
- 다만 OCF는 전년 동기 대비 악화되고, Capex 증가와 맞물려 FCF 또한 큰 폭으로 감사한 점은 주의 필요.
2022~2024년 분기별 매출 및 수익성 지표 추이
- 분기별 그래프로 보면 매출 총 이익률 GPM의 상승세와 영업이익률 OPM의 상승세를 확인할 수 있다.
- 4분기로 가면서 수익성이 떨어지는 패턴이 보이는데, 이번 현대바이오랜드 2025년 에는 어떻게 되는지 예의주시 필요.
- 3개년 동안 1Q의 매출 중에서는 역대금 매출을 보이고 있다.
2022~2024년 년 별 매출 및 수익성 지표 추이
4. 주요 원자재 구매가격 변동표
- 원자재 구매 가격에 큰 변화가 없어서 원재료 투입가격은 잘 관리되며 양호한 모습.
5. 사업부별 매출비중
- 현대바이오랜드 2025년 1Q 서업부 매출 비중에서 "브랜드"가 단연 돋보이는 175% 성장을 이루어냈다. 이는 네슬레 건강기능식품 등을 유통하며 시장을 넓혀가는 모습이다.
- 반면 주력 사업인 화장품 원료사업부는 4.4% 매출이 감소하였다. 주력 사업인 만큼 우려가 될만하지만, 브랜드 사업의 눈에 띄는 성장으로 총매출은 12.3% 나 성장을 하는 모습.
6. 주요 제품 가격
- 긍정 : 화장품 수출과 의약품 내수의 평균 판매단가가 급등을 했다. 화장품 수출은 53% 의약품 원료 내수 단가는 매로 1178%나 급등을 하며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를 예상해 본다.
- 브랜드 네슬레 건강기능 식품 사업은 신규 론칭 사업인데 벌써 가격 인상을 12% 하였고, 위 5번에서 보듯이 매출 점유율도 넓히고 있어 긍정적 요소다.
- 부정 : 화장품 내수는 11.8%나 하락을 하고, 건강기능식품 수출 및 의료기기 수출도 판매단가가 하락했다. 이는 내수 시장의 경쟁 심화 또는 수출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 압력 가능성을 나타낸다.
7. 수출/내수비중
- 내수가 78% / 수출이 22%이며, 수출이 24년 대비 -3.9% 적어진 것은 다소 아쉽다.
- 주로 일본 -11.6% 와 기타 지역의 -26% 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시장에서는 47%의 높은 성장을 나타내는 것은 긍정적 요소이다.
8. 설비 가동률
- 오송공장: 71.2% / 71.3%
- 안산공장: 78.4% / 75.4%
- 오창공장: 89.7% / 87.5%
9. 재고자산 증감
- 원재료, 재공품, 제품 등을 타이트하게 관리하며 현금 운용에 매우 긍정적인 모습이다.
- 상품의 119% 상승은 네슬레 건기식 제품을 수입해서 판매하다 보니, 선제적으로 수입해서 재고 구비를 해놓았다고 해석된다.
- 총 재고자산이 24% 증가하는 동안 매출액 증가는 12.3% 였기에 아무래도 재고자산 회전율 면에서는 하락이고 운전자본 부담 증가로 현금흐름 에는 악화 요인이 되고 있다.
10. 매출채권 및 매입채무 증감
매출채권이 급격기 늘어났다. 아무래도 백화점이나 네슬레 건기식 신규 고객장에서의 환급이이 더뎌지는 것 아닌가 유추해 본다.
11. 판매와 관리비 분석
- 판관비의 10억 증가 세부내역을 뜯어보니 현대바이오랜드 2025년 1분기에서 눈에 띄는 증가 항목들은, 지급수수료, 광고선전비, 운반비 3종류는 사업이 잘돼서 그리고 더 잘하려고 광고해서 증가된 비용이기에 긍정적이다.
- 다만 대손상각비 2.4억이 증가하는 점은 부정적 요소다. 아무래도 이번 분기 매출채권이 급격히 늘어나며 선반영 한 게 아닌가 싶다.
- 직원수가 332명에서 242명으로 10명이 늘어났음에도 급여는 30억에서 28억으로 줄어든 점이 고무적이다.
12. 주요 변화를
2022-2024년 현금흐름 지표 추이
- Capex 12억으로 인해 FCF 가 훅 떨어지는 모습이다. 그럼 투자는 무엇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자
- 유형자산 취득 : 기계장치 8.57억, 공구와 기구 3억, 비품 차량운반 0.9억 등으로 전반적으로 제품을 더 파느라고 필요한 설비들의 증가였다고 보여진다
📌 투자 Keywords
긍정적 변화
- 견조한 외형성장 및 수익성 개선 : 매출 yoy 12% , 영업이익은 50억으로 25% 나 증가했다.
- 수익성의 개선 : GPM이 41 -> 42.3% , OPM이 13.4% -> 14.8% 로 모두 상승하며 제품의 ASP 상승효과를 예상.
- 신규 브랜드 사업부문의 폭발적 성장 : 네슬레 건기식 사업부의 175% 급성장은 매우 긍정적이다. 브랜드 부문의 판매가도 인상을 한 것을 위 6번에서 확인할 수 있었듯이. 만약 2Q에도 네슬레 사업부의 성장이 이루어진다면 이익률은 더욱 개선될 것으로 예측된다.
반응형
- 의약품 원료 사업부의 견조한 성장 : yoy 19% 증가한 22억, 특히 내수 제품의 평균단가의 큰 폭 상승으로 수익성 개선에도 기여
- 재문 안정성 : 유동비율 176% -> 299% / 부채비율은 34% -> 23% 하락하며 단기 지급 능력과 재무 건전성이 모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 : 미국 지역 매출이 전년 동기대비 47% 나 증가하며 해외 시장 다변화의 가능성을 볼 수 있다.
주의할 변화
- 주력 화장품 원료 사업의 부진지속 : 현대바이오랜드 2025년 1Q 실적 중 화장품 사업부 매출은 yoy로 4.4% 감소한 140억을 기록했다. 회사의 전통적인 캐시카우 사업부의 역성장은 실적에 부담요인이고 향후 회복 되는지 예의주시해봐야 한다
- 운전자본 부담급증 및 현금흐름 약화: 매출채권의 증가와 재고자산의 증가로 인한 현금흐름에 악효과로 OCF 가 적자 폭 확대를 했다. ( 매출을 위한 선제적 완제품 구매 인 점은 ok , 다만 매출채권의 회수는 필요해 보인다.)
- 판관비 비용증가 : 지급수수료, 광고선전지 등의 증가는 미래사업을 위한 지출이지만 비용증가임은 맞다
* 본 글은 해당종목(기업)의 개인 기록용 분석글이며,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k뷰티 시험기관
- 비올 4분기실적
- 삼지전자 open ran
- 캉골 매출
- 삼지전자 건설 자회사
- 현대바이오랜드 25.1q 분석
- 중국금리인하 한국 영향
- 후쿠오카 맛집
- 미국증시마감 한국증시 영향
- 현대바이오랜드 2025년1q 실적
- 조선주 수혜주
- 네오팜 주가전망
- 미국증시마감시황
- 티앤엘 목표주가
- 현대바이오랜드 화장품 수혜
- 현대바이오랜드 신사업
- 미국주요뉴스
- 미국증시 코스피영향
- 실용중국어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전망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k뷰티 수혜종목
- 현대바이오랜드 네슬레 건기식
- 엔비디아 h20중국 수출금지
- 비올 목표주가
- 5/22 미국증시마감 시황
- 5월21일 미국증시마감시황
-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 2025.1q 실적분석
- 미국증시마감시황 5/20
- 무료중국어강좌
- 세진중공업 협력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