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기업 개요

기업명 : BGF에코머티리얼즈 

기업개요 : 고기능성 폴리머 칩 제조/판매 하는기업. BGF그룹의 소재부문 핵심 계열사.

주요사업내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화학사업, 전자부품 소재, 자동차 부품 소재(내장재) 및 반도체 소재 사업으로 구성. 

주요제품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컴파운드, 다양한 전자분야 공정용 소재, 자동차 내장재, 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 2차전지 전해액 첨가제 등

 

2.주요제품 생산 및 판매

2022년- 2024년 재무정보

항목2022년 (제26기)2023년 (제27기)2024년 (제28기)YoY 증감률(2024년)

항목 2022년 (제26기) 2023년 (제27기) 2024년 (제28기) YoY 증감률(2024년)
매출액 (억원) 2,633 2,857 3,643 28%
영업이익 (억원) 159 172 140 -19%
영업이익률 (%) 6 6 3 -36%
매출총이익 (억원) 403 533 716 34%
판매비와 관리비 (억원) 244 361 576 59%
POR (배) 16 16 26 57%
OCF (억원) -101 243 125 -49%
CAPEX (억원) 200 190 458 141%
FCF (억원) -301 53 -333 -730%
유동비율 (%) 215 283 181 -36%
부채비율 (%) 74 30 44 46%

 

 

  • 매출액은 큰폭으로 성장. 다만 영업이익은 감소, 수익성 악화 모습. 매출액 yoy 28% 증가 3543억, 영업이익은 19% - 감소한 140억원에 그쳐 영업이익률이 6% -> 3% 대로 하락함. 이는 판관비가 59% 급증한데에 주로 기인한것으로 보임 
  • FCF는 24년에 -333억으로 크게 악화됨.  OCF 가 243억원에서 125억으로 감소한 반면, CAPEX 투자가 190억원에서 458억으로 대폭 증가한 결과. (대원케미칼 인수) 대규모 투자가 진행중임을 확인 가능. 
  • POR 16배에서 26배로 상승, 영업이익의 훼손을 말해줌. 유동비율도 283% -> 181%로 하락했으나 그래도 양호한 수준.

 

 

 

2022~2024년 분기별 매출 및 수익성 지표 추이

 

 

GPM은 23년 3Q에 상승한후 나름 매출원가 잘 지키면서 매출액과 함께하는 긍정적 모습을 보이는데 반해, 

판관비율의 23년 3Q부터의 급격한 증가로, 영업이익률 계단식 하락을 이어오다, 23년 2Q부터 완전 무너지는 모습이다.

자세한건 밑에서 뜯어봐야겠다.

 

2022~2024년 년 별 매출 및 수익성 지표 추이

언제부터 이익이 꺾이는지 세부적으로 보기에 위의 분기별 차트에서 더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었다

 

3.사업부별 매출비중


 

사업부문 2022년 매출 2022년 비중 (%) 2023년 매출 2023년 비중 (%) 2024년 매출 2024년 비중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화학 2,633 100 2,605 91 2,858 78
전자·자동차 부품 소재 0 0 75 2 306 8
반도체 소재 0 0 175 6 478 13
합계 2,633 100 2,855 99¹ 3,642 99¹
  • BGF에코머티리얼즈 의 사업구조는 2023년부터 큰 변화를 보여줌. 2022년까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화학 사업이 전체 매출의 100%를 차지하였던 단일 핵심사업이었다.
  • 2023년 케이엔더블유 인수 효과로 전자,자동차 부품 소재 및 반도체 소재사업 부분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각화 됨. 23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부문이 여전히 91%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 하나, 신규 편입된 반도체 소재부문이 6% 전자 자동차 부품 소재 부문이 2% 로 매출 비중을 보이며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줌.
 
  • 2024년에는 이런 다각화 추세가 더욱 심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부문의 매출액은 소폭증가했고,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78%로 감소함.
  • 반면 반도체 소재 부문은 매출액이 478억원으로 크게 성장하며 비중이 13% 까지 확대 됨. 
  • 전자.자동차 부품 소재도 매출 비중 8%까지 차지 하면서 회사가 기존 주력 사업외에 신규 인수한 사업부문들을 빠르게 성장시키며 주력 사업군에 변화를 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특히 반도체 소재 부문의 가파른 성장은 향후 회사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될 가능성까지 있다.

 

4.수출/내수비중


 

지역 2023년 매출액 2024년 매출액 비중 (%) 
국내 1,604 2,125 58
아시아 619 892 24
미주 568 569 15
기타 66 58 1
합계 2,857 3,643 100
 

내수매출 2125억 으로 58%비중

수출매출 1519억으로 41%비중

 

5. 설비 가동률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81%
  • 보호필름,광학필름코팅 35%
  • PDMS Donor 48%
  • 자동차부품소재산업 (HOOK등) 86.5%
  • 반도체 소재사업 (특수가스등) 65%

  • 2024년  CAPEX 는 약 458억원, 전년 190억 대비 크게증가함.
  • 주요 투자내용은 종속회사, 비지에프에코스페셜티를 통해 반도체 소재 가업강화를 위함 '무수불산 제조시설투자' 결정이 있었음. 이 투자는 2024년 6월 이사회에서 결의되었으며, 2026년 까지 약 1500억원 규모로 진행될 예정. 예상 생산 캐파는 약 5만톤.

6.재고자산 증감 

구분 2023년말 (억원) 2024년말 (억원) 증감액 (억원) 증감률 (%)
원재료 171 211 40 23%
재공품 8 11 3 44%
제품 282 309 27 10%
총 재고자산 601 727 126 21%
  • 총재고자산 727억으로 전년말 601억대비 21%나 증가했다.원재료증가 40억 + 제품재고 증가 27억
  • 재공분은 8억에서 11억으로 3억 (44% 증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여줌.고객처의 시황이 급변하지 않는 한 어떤 오더에 의해 생산을 시작한거.
  • 원재료 23% 증가 또한 원자재의 향후 급등할 것을 대비해 쟁여 두지 않는한, 고객사의 오더 의지에 따른 행보라고 읽을 수 있음.

 

7. 판매와 관리비 분석

 

2024년 판매와 관리비 현황표

항목 2023년 (억원) 2024년 (억원) 증감액 (억원) 증감률 (%)
급여 119 168 49 40%
퇴직급여 5 10 5 104%
복리후생비 18 28 10 59%
여비교통비 5 7 2 45%
세금과공과 10 16 6 55%
감가상각비 19 37 18 96%
보험료 2 3 1 40%
수도광열비 1 2 1 79%
전력비 3 7 4 154%
차량유지비 5 7 2 45%
경상연구개발비 28 33 5 19%
운반비 67 106 39 57%
포장비 3 3 0 1%
소모품비 3 7 4 146%
지급수수료 47 79 32 67%
견본비 2 5 3 134%
보관료 8 8 0 0%
무형자산상각비 8 26 18 232%
대손상각비(환입) -1 5 6 729%
기타 10 19 9 91%
합계 361 576 215 59%

 

  • 인건비 증가 : 급여 40%증가, 퇴직금 104%증가. 복리후생비 59%증가 등 인력 확대 및 처우개선 등으로 인해 인건비 늘어난 것으로 해석. 케이엔더블유 및 대원케미칼 연결 편입효과와 기존 사업의 인력 충원 등 혹합적일 것.
  • 사업활동 확대 관련비용증가 : 운반비 와 지급수수료, 소모품비 , 견본비 등의 증가폭이 큰데, 이는 매출 증가 (28%) 에 따른 물류비 및 판매관련 수수료 임으로 긍정적.
  • 자산관련비용증가 : 감각상각비 와 무형자산상각비 의 매우 큰 증가는 케이엔더블유인수 및 대원케미칼 인수로 인한 유형 및 무형자산의 증가와 신규 설비 투자 Capex 141% 에 따른 상각비 부담이 커진 결과. 단기 부담은 되지만, 향후 미래를 위한 투자.
  •  

8.주요변화를 통한 현금흐름 분석

 

2022-2024년 현금흐름 지표 추이

 

  • 재고자산 증가 : OCF 감소영향, FCF 감소영향
  • 매출채권 증가 : OCF 감소영향, FCF 감소영향
  • 매입채무 증가 :  OCF 증가영향, FCF 증가영향
  • CAPEX 증가 : FCF 감소영향
  • 판관비 증가 : OCF 감소영향, FCF 감소영향

2024년 BGF에코머티리얼즈 매출액이 28%성장. 

영업이익은 판관비의 급증 (특히 M&A관련 상각비, 인건비, 운반비 등) 으로 인해 19% 감소

재고자산과 매출채권의 증가로 인해 OCF 는 전년비 118억 감소

CAPEX투자가 190억에서 458억으로 대폭 증가하면서, FCF 는 53억에서 -333억으로 큰폭의 적전하는 모습

 

회사가 단기적인 수익성 및 현금흐름 악화에도 불구하고, M&A 통한 사업다각화 및 설비투자에 집중하고 있음을 시사함. 

특히 반도체소재 부문의 무수불산 설비 투자등은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음. 

 

 

 

긍정적 변화

  • 매출 과 GPM은 정상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 케이엔더블유 (23년 8월) 및 대원케미칼 (24년 10월 인수) 등 적극적 M&A로 기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원툴에서,
  • 전자.자동차 부품소재, 반도체 소재 등으로 영역을 다각화 함.
  • 24년 기준 신규사업 전자.자동차 부품 소재 매출은 306억 (비중 8%) , 반도체 소재매출 478억 (비중 13%) 를 기록하며 전체 매출 성장에 기여함.
  • 무수불산 제조시설에 1500억 투자결정. 2026년까지. 향후 반도체 소재사업의 수직계열화 및 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  

 

 

 

위험요소 

  • 수익성 악화 : 판관비 576억으로 기존 361억대비 59%나 증가하면서 , 영업이익 19%감소 (172억 -> 140억) , 영업이익률 6% -> 3% 로 영업이익 훼손.
  • OCF 악화 및 CApex 증가로 FCF 감소 : OCF의 49% 감소 (243억 -> 125억) 의 주요 원인은 운전자본 부담 (재고자산 및 매출채권 증가) 그리고 현금성 비용증가등이 원인.
  • 재고자산은 727억으로 전년비 21%증가했다. OCF 에는 악영향이지만, 고객사 니즈에 의한거라는 가정하에, 2025년 매출화 시킬 수 있다는 가정이 필요.

9. 원자재가격 변동 과 판매가격 변동 비교

 

주요 원자재 변동 추이 표

원자재명 단위 2022년 구매가 2023년 구매가 2024년 구매가 YoY 변동(%) (2024년)
2022→2024 변동률(
Base Resin - PA66 $/MT 3,688 2,623 2,608 -1% -29.30%
Base Resin - PA6 $/MT 2,171 1,793 1,830 2% -15.70%
Base Resin - PP $/MT 1,062 910 922 1% -13.20%
기타 (보강재/충진재 등) $/MT 2,346 1,506 1,262 -16% -46.20%

 

주요 제품 판매가격 변동 추이 표

품목 단위 2022년 판매가 2023년 판매가 2024년 판매가 2022→2024 변동률(%)
PA66 원/KG 4,908 3,865 3,605 -26.60%
PA6 원/KG 3,617 3,301 3,345 -7.50%
PP 원/KG 2,051 1,900 1,772 -13.60%

거의 원자재 가격 떨어진 만큼, 판매가도 반여애서 고객에게 팔았다고 보이네.

PA6 한개만 좀 이익 보존 했고.

 

10.2025년 1Q 잠정실적

  • BGF에코머티리얼즈 의 2025.1Q 실적은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음. 매출액은 yoy 13.5% 증가하며 외형성장을 보여줌.
  • 영업이익은 you -14.59% 감소하여서 실망. 영업이익률도 6.46% -> 4.86% 로 하락. 즉 24년4Q의 수익성 훼손이 아직 이어지고 있음을 예측 가능.
  • QoQ 로 보면 워낙 24.4Q가 빅배스 급 이익 훼손이었기에 큰 상승으로 보일 수는 있음. op 226%상승.

아직 잠정실적이라 판관비 나 세부적 원인을 뜯어볼 순 없지만, 24년 4Q의 기조를 이어간다면, 운전자본 부담 (재고자산, 매출채권) 이 아직 현금화 되지 못했기 때문일 거기에, 우선 너무 조급하게 바라볼 필요는 없지 않나 싶다. 

최소 외형성장, 매출은 늘고있지 않은가.

반응형

11.2025년 실적 전망

  • 25년 1분기 매출액 990억을 단순히 연간화 하면, 약 3960억으로 가정해본다. 매출은 훼손 없이 지속적으로 잘 성장해왔기에.
  • 25.1Q 영업이익은 48억이다. 24.4Q에 영업이익 큰 훼손으로 15억으로 감소 했던걸 생각하면, 우선 정상화는 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 케이엔더블유 반도체 소재 부문이 24년에 54억 손실을 기록했던걸, 25년에 똔돈만 맞춰줘도 M&A 효과를 영업이익 쪽에서도 볼 수 있지 않을까?
  • 2023년의 172억까지 한번에 회복하는건 공격적인 예측이고, 우선 작년 140억의 5%인 146억만 되어도. YoY 성장 이라는 모습으로 시장에 환영을 받지 싶다.
  • 2025년 예상 매출액 3900억 ~4100억 / 영업이익 150억 ~170억

12. 차트를 통한 분석

 

주봉차트인데, 지금 상황으로는 장기이평들도 다 하락세이고, 거래량 실은 매집봉 도 보이질 않는다.  그저 단기적으로

지금의 추세 선을 뚫어 장기 이평 터치라도 한번 하면 모를까... 라 생각하다 뭐 실적이나 호재가 따라야 그것도 가능할 듯.

 

바닥은 맞다는 생각. 과매도 몇달간 나왔고, 중기

 

미래를 위한 투자는 좋은데, 지금 의 재무제표가 깨지는 점이 아쉽다. 그래도 251Q 영업이익 회복하는 모습에 희망은 보이는듯.

2Q에 서프라이즈 내면? 어떨런지 추이를 지켜보자.

 

* 본 글은 해당종목(기업)의 개인 기록용 분석글 이며,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