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1.기업 개요

기업명 : 네오팜

기업개요 : 화장품 기업으로 주요브랜드는 아토팜, 리얼베리어, 더마비, 제로이드 등 보유. 민감성 피부 및 피부장벽 케어 제품에 특화. 독자적 MLE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품력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 민감성 스킨케어 부문 18년 연속 브랜드파워 1위 (높은 브랜드 인지도)

 

 

2.주요제품 생산 및 판매

주요사업내용: 

  • 아토팜 : 민감피부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 리얼베리어 : 피부장벽 전문 더모코스메틱 브랜드
  • 더마비 : 생활보습 바디전문브랜드.
  • 티엘스 : 자연주의 컨셉의 스킨케어브랜드
  • 제로이다 : 병원 채널 통해 유통되는 메디컬 스킨케어 브랜드.
  • 이외에도 건강기능식품 (에이토솔루션, 네오랩) 과 반려동물용품 (포앤팜) 운영

 

3. 2022년- 2024년 재무정보

항목 2022년 (제23기) 2023년 (제24기) 2024년 (제25기)
YoY 증감률 (2024년)
매출액 842 970 1,192 22.80%
영업이익 224 256 248 -3.00%
영업이익률 27% 26% 21% -21.00%
매출총이익 582 653 744 13.90%
판매비와 관리비 358 397 496 24.80%
POR(배) 4 4 5 26.70%
PBR 1.54 1.37 1.24 -9.50%
OCF 183 235 185 -21.30%
CAPEX 5 199 28 -85.90%
FCF 179 36 157 334.50%
유동비율 998% 794% 1013% 27.60%
부채비율 9% 11% 9% -19.40%

 

2024년 네오팜의 매출은 전년비 22.8% 성장하며 외형 확대를 지속, 판관비 25%, 증가함에 따라 영업이익은 3% 감소하였고 영업이익률도 26 퍼 -> 21퍼 로 하락했다. 

 

이는 매출성장에도 불구하고 비용 증가폭이 커서 수익성을 다 훼손한것. CAPEX 가 큰 폭으로 감소 함녀서 OCF 감소에도 불구하고 FCF는 그래도 36억에서 157억으로 크게 개선되었다.

2022~2024년 분기별 매출 및 수익성 지표 추이

 

  • 242Q부터 GPM의 급상승 이 보이고, 매출원가의 효율적인 관리 모습을 보인다. 
  • 판관비율도 2Q부터 올라가면서 영업이익이 떨어지는건 다소 아쉽.

2022~2024년 년 별 매출 및 수익성 지표 추이

 

4.사업부별 매출비중

 

건기식 제품군이 존재하지만, 사실상 그냥 화장품 원툴 회사라고 보는게 맞다. 24년 기준 화장품 비중 99%

 

5.수출/내수비중

  • 내수비중 85% / 수출 비중 15% 

6. 설비 가동률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생산능력(천개) 8,220 8,220 21,508
생산실적(천개) 6,505 8,024 10,796
평균가동률 79.10% 97.60% 50.20%

 

2024년 생산캐파가 150%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 생산능력 증대를 위해 2023년 199억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었으며, 이 투자는 주로 음성공장의 토지매입, 건물 신축 등으로 사용됨. 

2023년에 가동률이 98%에 육박하던걸, 적기에 증설하여 24년에 매출이 올라갔음에도 가동률 50% 임. 고객 오더 증가 예측 에 따른 선재적 대응

 

 

 

7.재고자산 증감

 

구분 2023년 (제24기말) 2024년 (제25기말) 증감액 증감률
원재료 18 19 1 5.70%
재공품 3 6 3 106.40%
제품 66 86 20 30.60%
총 재고자산 100 126 27 26.80%

 

재공품 100%, 제품 30% 증가로 OCF 에는 안좋게 보이지만,   생산 CAPA의 증가와 재공품, 제품의 선재적 대응

긍정적으로 해석된다.

 

8. 매출채권 및 매입채무 증감

 

항목 2023 2024 증감액 증감률
매입채무 64 50 -14 -22.4%
매출채권 85 107 23 26.7%
  • 매입채무 -14억만큼 현금이 유출 되었다.
  • 매출채권 23억 증가만큼 현금회수 지연, 운전자본 부담 현금에 부정.

9 판매와 관리비 분석

항목 2023년 (제24기) 2024년 (제25기) 증감액 증감률
급여 89 85 -4 -4.10%
퇴직급여 6 6 0 3.50%
복리후생비 13 15 2 16.70%
여비교통비 3 3 0 11.50%
감가상각비 7 12 5 64.10%
경상연구개발비 26 34 8 28.70%
운반비 27 33 6 21.90%
포장비 10 10 0 0.10%
지급수수료 30 39 9 32.00%
판매수수료 49 97 48 98.50%
광고선전비 94 103 9 8.70%
판매촉진비 29 33 4 12.10%
무형자산상각비 4 5 1 18.70%
기타의판매관리비 10 21 11 110.50%
합계 397 496 99 24.80%

 

  • 판매수수료 급증 : 전체 판관비 증가 99억중 50% 차지함. 매출증대 과정에서 온라인 플랫폼 등 특정 판매 채널의 비중이 확대 되었거나, 해당 채널의 수수료율이 높아졌기 때문일 수 있는데, 판매 수수료의 증가는 매출총이익률이 양호하더라도, 영업이익률을 낮추는 직접적 요인이 된다.
  • 기타 판매관리비 : 전반적인 관리비용의 상승을 의미하는데, 세부내용은 알 수 없으나 많이 늘어났다. 영업이익에 부정적
  • 경상연구개발비 : 미래 성장을 위한 연구 개발비 투자는 긍정적

10.주요변화를 통한 현금흐름 분석

 

 

  • 2024년 두배의 생산 Capa 증가를 2023년 4Q에 집행했음을 , 현금흐름 분기별 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년도별 현금흐름표를 보면, 2024년의 OCF 가 yoy 엄청 줄어들어 보인다. 그 원인에는 재고자산 (재공품/제품) 의 증가, 매출채권의 증가, 매입채무 의 감소 등이 영향을 끼쳤다. 
  • 반면 Capex 의 감소로 인해, FCF 는 양호한 모습을 되찾았다.

OCF의 감소가 표면적으로 보이는 악재가 아니오, FCF 의 증가는 그만큼 선재적 투자를 멈춘 것이기에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다만 이 둘을 섞어 보면, 2024년도 네오팜 의 현금 흐름은 긍정적인 모습이 우세하다

11.2025년 실적 전망

 

Fnguide 에서는 2025년 네오팜 의 예상 실적을 1341억 / 265억 을 예상을 하고 있다.

 

K-뷰티 : 2024년 4분기 수출액이 yoy 26% 증가함.

  • 미국 : 더마비의 아마존 인지도 상승, 아토팜과 더마비의 미국 코스트코 입점이 예정되어 있어서 기대가 됨.
  • 일본 : 리얼베리어 리뉴얼 제품의 판매호조, 4분기 일본매출이 100%성장함. 
  • 싱가포르 도 성장하고 , 사우디아라비아 의 최대 드럭스토어 '나디' 에 입점하여 500개 매장으로 확대 예정.
반응형

국내시장

  • 제로이드 의 올리브영 입점. 
  • 온라인채널이 메인 매출이며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

면세채널 : 2024년 4분기 회계처리 방식 변경 효과와 , 25년 1분기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아토팜 300% 증가. 

네오팜 투자 Keywords

  • 매출의 성장 970 -> 1192억 22.8% 성장
  • FCF의 대폭 상승
  • 우수한 재무안정성 : 유동비율 1,013% (부채 9%) 매우 안정적
  • 수출의 지속성장. -> 확장성
  • 영업이익의 감소 : 판매수수로, 감가상각비 등으로 인해
  • OCF 감소 : 운전자본 부담 증가
  • 생산가동률 하락 으로보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Capa 가 두배 늘어나서 괜찮

 

* 본 글은 해당종목(기업)의 개인 기록용 분석글 이며,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아니며, 모든 투자의 판단과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