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미중관세합의 는 경제 불확실성을 줄였고, 경기 침체 가능성을 낮췄다.

 

📌  1. "경기가 나쁘지 않다면 연준이 굳이 금리를 빨리, 많이 내릴 필요가 있을까?"

  •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짐
  • 금리가 낮아지지 않는다면 , 기존에 저금리를 기대하며 매수했던 채권들이 매력도가 낮아짐
  • 기존 채권 (낮은 금리를 가진) 을 팔고자 하는 투자자들이 늘어나면서 매도 압력 증가.

원래는 연준이 금리 인하를 하면, 새로 발행되는 미국 10년물 국채 의 금리도 더 낮아진다.

그러면 금리 인하 후에 발행되는 신규 채권대비, 지금 매수 할 수 있는 채권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금리(이자)를 지급하는 

"고금리 자산" 이 되기에 구매할 메리트가 있음. 그래서 금리 인하하기전에 현재의 채권을 매수 하려는 수요가 생기고 있는것. 

 

 

반대로 미중관세합의로  금리 인하가 지연되거나 무산되면, 새로 발행될 미국 10년물 국채 의 금리가 낮아지지 않을 수 있다,

보유중인 채권의 가격의 상승 기대가 꺾이게 되는 것. 따라서 이러한 채권을 보유할 메리트가 약해지고 ,

시장에서 매도 압력이 커지게 됨.

 

예시를 통한 용어 정리

 

  • 액면가 : 100만원
  • 표면이자율 : 3% -> 매년 3만원 이자를 받기로 한 고정 이자
  • 현재시장 가격 : 103 만원 (액면가 대비 프리미엄 상태)

이 경우,

이 채권의 시장금리 (채권수익률 YTM) 은 3만원 ÷   103만원 = 2.91% 인 것.

즉, 표면이자율 3% 보다 낮은 수익률이 발생 하게 됨.

용어 예시 같은 말?
표면 이자율 (Coupon Rate) 발행 시 정해지는 고정 이율 3% ❌ 시장 금리와 다름
시장 금리 = 채권 수익률 (YTM) 현재 가격 기준 실질 수익률 3만 원 ÷ 103만 원 ≈ 2.91% ✅‘수익률(금리)’과 동일
시장 이자율 중앙은행 정책금리와 맞물린 전체 금리 수준 기준금리·CD금리 등 포함 유사하지만 맥락에 따라 다름

 

* YTM : Yield to Maturity = 만기보유 수익률

 

핵심 요약

 

 

📌 2. 국채를 매도하면 왜 금리가 오르는가?

채권 시장의 기본원리

  •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 그 국채의 수익률 (=시장금리)는 상승한다.
  • 채권금리(시장금리) = (표면이자 / 채권가격)이기 때문에 가격이 내려가면 금리는 자동으로 오른다.
  • 따라서 매도 압력이 커져 가격이 떨어지면 금리는 올라가는것.

✅ 상세 설명 

- 표면 이자  = 채권이 매년 주는 고정 이자

- 채권 가격 = 시장에서 사고파는 현재 가격

- 수익률 (시장금리) = 이자를 기준으로 한 실질적인 투자 수익률

 

✅ 예시

상황 : 내가 갖고 있는 채

  • 액면가 (원래 가격) : 100만원
  • 표면이자율 1%
  • 매년 이자 : 1만원
  • 만기 :1년 

👉 채권 가격이 100만원일때

  • 수익률 = 1만원 ÷ 100만원 = 1%
  • 이게 이 채권의 원래 금리

👉 채권을 시장에서 매도하는 사람이 많아져서 가격이 98만원으로 떨어졌다고 가정. (매도 압력 = 가격하락)

  • 수익률 = 1만원 ÷ 98만원 = 1.02%
  • 가격이 내려가니까, 같은 이자를 더 싼 가격에 사는 구조가 되어 "채권수익률" 이 올라감.

👉 가격이 더 떨어져서 95만원이 되면?

  • 수익률 = 1만원 ÷  95만원 = 1.05% 수익
  • 매도 압력이 클수록 -> 가격 더 하락 -->> 금리 더 상승.

 

 

 

📌 3. 왜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도 오르는가요? (장기물 반응)

  • 이번 미중관세합의 로 인해 단기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도 경기 개선을 암시함.
  • 이는 "앞으로 연준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금리를 낮추지 안을 수도 있다" 는 전망으로 이어짐.
  • 장기금리 (10년물) 역시 상승압력을 받고, 시장은 이같은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 인하를 덜하거나, 오히려 재차 긴축까지 돌아 설 수도 있다고 보기 때문

 

 

👉  정리 - 3가지 상호작용 요약

 

 

👉  따라서 미중관세합의 로 "금리인하 기대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채권 매도 압력이 생기고, 그 결과 금리가 오르는 것" 은 논리적인 시장의 반 

 

✅ 용어 관계 정리 정리편

 

항목 설명 예시
정책금리 연준(FED, 파월)이 직접 결정하는 기준 금리 Federal Funds Rate (FFR)
시장 이자율 정책금리를 반영해 금융시장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실제 적용 금리 CD금리, 예금/대출금리, 모기지금리, 회사채금리 등. 국민들이 받는 금리
채권 수익률 (YTM)/ 시장금리 채권 가격에 따라 결정되는 시장금리의 한 형태, 채권 투자 시 실제 수익률 10년물 국채금리, 회사채 YTM 등

 

 

반응형
댓글